AIoT

AIoT 정규 32일차

맥기짱짱 2024. 2. 15. 17:20

1. HTML을 이용해 웹에서 오디오 파일 실행하기

 

일단 오디오 파일이 필요하니 유튜브 스튜디오 뮤직 라이브러리를 사용했다(https://studio.youtube.com)

이중 마음에 드는 곡 3개를 오프라인 다운로드로 가지고 왔다.

 

음악파일을 넣는 것은 매우 간단한데 오디오 태그 <audio>, </audio> 이 둘 사이에 <source src="음악파일. mp3">를 넣어주면 된다. 처음 오디오 태그 뒤에 control을 넣어 음악을 재생할 수 있게 만들어주자. 그 외에 autoplay, muted 등 다른 옵션을 추가할 수 또 있다.

 

<!DOCTYPE html>
<html>
  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 /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 /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" />
    <title>Document</title>
  </head>
  <body>
    <p>Don't Fret</p>
    <audio controls autoplay loop>
      <source src="music/Don't Fret - Quincas Moreira.mp3" type="audio/mpeg" />
      <source src="music/Don't Fret - Quincas Moreira.wav" type="audio/wav" />
    </audio>
    <p>Hotlanta</p>
    <audio controls muted>
      <source src="music/Hotlanta - Track Tribe.mp3" />
    </audio>
    <p>Two Hearts</p>
    <audio controls>
      <source src="music/Two Hearts - TrackTribe.mp3" />
    </audio>
  </body>
</html>

 

그럼 이런 식으로 웹에서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다.

 

2. HTML을 이용해 웹에서 비디오 파일 실행하기

 

: 비디오 파일은 우리 집 고양이 동영상을 사용했다.

귀엽당

동영상 파일도 오디오 파일과 비슷하게 비디오 태그 <video>, </video> 사이에 비디오 소스를 넣으면 된다. 그리고 하이퍼 링크를 통해서 동영상을 클릭하면 내 블로그로 연결되게 만들어보았다.

<!DOCTYPE html>
<html>
  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 /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 /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" />
    <title>Document</title>
  </head>
  <body>
    <a href="https://mcgizzang.tistory.com/3">
      <video width="500px" controls autoplay muted loop>
        <source src="video/cat.mp4" type="video/mp4" />
      </video>
    </a>
  </body>
</html>

이미지 파일이라 눌리지 않는다.

3. 파비콘(Favicon) 설정하기

: 파비콘(Favicon)이란 웹사이트 또는 웹 페이지를 대표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16x16 픽셀의 작은 이미지이다. 예를 들어 티스토리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.

 

파비콘은 가장 일반적으로 16*16 아니면 32*32 픽셀로 보인다.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도 사용된다.

 

일단 정사각형의 사진을 만든다. 내 경우에는 우리 집 고양이 맥그리거를 사용했다.

 

이런 식으로 만든 뒤 HTML 문서 헤드 파트에 다음과 같이 링크를 넣어주면 된다.

<link rel="icon" type="image/jpg" href="img/icon.jpg" />

 

 

웹에서 보이는 건 다음과 같다.

 

 

4. 텍스트 포매팅

: HTML에서 포매팅은 다음 태그들을 사용하면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.

태그 기능
<b> 굵은 텍스트
<i> 이탈릭 텍스트(기울어져 있는 문자)
<u> 밑줄 텍스트
<del> 삭제된 텍스트
<big> 큰 텍스트
<small> 작은 텍스트
<sub> 서브스크립트 텍스트
<sup> 슈퍼스크립트 텍스트
<tt> 모노스페이스 텍스트
<mark> 마크된 텍스트

 

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다.

<!DOCTYPE html>
<html>
  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 /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 /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" />
    <link rel="icon" type="image/jpg" href="img/icon.jpg" />
    <title>Document</title>
  </head>
  <body>
    <p>This is normal text</p>
    <p>This is <b>bold</b> text</p>
    <p>This is <i>italic</i> text</p>
    <p>This is <u>underlined</u> text</p>
    <p>This is <del>deleted</del> text</p>
    <p>This is <big>big</big> text</p>
    <p>This is <small>small</small> text</p>
    <p>This is <sub>subscript</sub> text</p>
    <p>This is <sup>superscript</sup> text</p>
    <p>This is <tt>monospaced</tt> text</p>
    <p>This is <mark style="background-color: aquamarine">marked</mark> text</p>
  </body>
</html>

이런 식으로 나오는 걸 볼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+Bonus 리스트 만들기

<!DOCTYPE html>
<html>
  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 /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 /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" />
    <link rel="icon" type="image/jpg" href="img/icon.jpg" />
    <title>Document</title>
  </head>
  <body>
    <h4>Groceries</h4>

    <!-- Unordered List -->
    <h4>To Get List</h4>
    <ul>
      <li>Milk</li>
      <li>Eggs</li>
      <li>Bread</li>
      <li>Coffee</li>
      <ul>
        <li>Coffee Beans</li>
        <li>Creamer</li>
        <li>Sugar</li>
      </ul>
    </ul>

    <!-- Ordered List -->
    <h4>To Do List</h4>
    <ol>
      <li>Eat breakfast</li>
      <li>Go to class</li>
      <li>Walk dog</li>
      <li>Work</li>
    </ol>

    <!-- Description List -->
    <h4>Mythical Creatures</h4>
    <dl style="background-color: aquamarine; border: 2px solid">
      <dt>Dragon</dt>
      <dd>
        드래곤(영어: dragon 드래건)은 서양의 신화 및 전설에서 공룡 및 익룡이나
        악어를 닮은 상상의 동물이다. 날카로운 발톱과 송곳니를 갖고 있으며,
        등에는 박쥐와 같은 날개가 달려있어 하늘을 날 수도 있다. 입에서는 불이나
        연기를 내뿜는다고 한다. 대체로 몸집이 거대하다고 한다.
      </dd>
      <dt>Phoenix</dt>
      <dd>
        피닉스(phoenix) 또는 불사조(不死鳥, "죽지 않는 새")는 아라비아 사막에
        살며 500년마다 스스로의 몸을 불태워 죽고 그 재 속에서 부활(born again)
        또는 재생한다. (regenerate)는 전설상의 새이다. 수명인 500년이 끝나갈
        때쯤 피닉스는 나무의 꼭대기로 올라가 자신을 태운다고 한다. 영원 불멸의
        상징이다.
      </dd>
      <dt>Vampire</dt>
      <dd>
        흡혈귀(吸血鬼)는 민속 또는 신화에서 생물의 정기(일반적으로 혈액의
        형태)를 빨아먹는 존재이다. 유럽의 뱀파이어(Vampire), 아라비아의 구울,
        중국의 강시 등 다양한 문화에서 흡혈귀의 존재가 선사 시대부터 전래되어
        왔지만[7] "뱀파이어"라는 단어는 15초까지 대중화되지 않았고, 발칸반도와
        동유럽의 흡혈귀 미신이 서유럽으로 유입되고 나서 부르기 시작되었으며,[8]
        그리스에서는 보로라카스(βρυκόλακας), 루마니아에서는 스트리고이(strigoi)
        등 다양한 명칭으로 알려져 있었다. 유럽의 흡혈귀 미신이 집단 히스테리
        수준으로 발전하여 실제로 시체처럼 걷는 사람들을
        뱀파이어리즘(vampirism)으로 신고하기도 하였다.
      </dd>
      <dt>Werewolf</dt>
      <dd>
        늑대인간(영어: werewolf 웨어울프[*], 독일어: Werwolf 베어볼프[*]) 또는
        리칸트로페(그리스어: λυκάνθρωπος = λύκος; lýkos + ἄνθρωπος; ánthrōpos,
        영어: lycanthrope 라이칸스로프[*]) 또는 브리콜라카스(그리스어:
        βρυκόλακας)은 신화 또는 민속에서 늑대와 반인반수 또는, 동시에 늑대와
        같이 혼혈종이 되는 인간을 의미한다. 종종 민속에서 의도적으로 저주 또는
        고통으로 설명되기도 한다(다른 늑대인간에 물려 변하는 예). 이 변환은 종종
        보름달이 올랐을 때 변하는 것과 관련되기도 한다. 늑대인간 신화가 최초로
        나온 것은 페트로니우스와 틸베리의 거베이스(Gervase of Tilbury)이다.
      </dd>
    </dl>
  </body>
</html>

 

++ Bonus2

<!DOCTYPE html>
<html>
  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 /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 /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" />
    <link rel="icon" type="image/jpg" href="img/icon.jpg" />
    <title>Document</title>
  </head>
  <body>
    <h3>Store Hours</h3>

    <table border="1" style="background-color: lightblue">
      <tr align="center">
        <th width="100">Suday</th>
        <th width="100">Monday</th>
        <th width="100">Tuesday</th>
        <th width="100">Wednesday</th>
        <th width="100">Thursday</th>
        <th width="100">Friday</th>
        <th width="100">Saturday</th>
      </tr>

      <tr align="center">
        <td>Closed</td>
        <td>9-5</td>
        <td>9-5</td>
        <td>9-5</td>
        <td>9-5</td>
        <td>9-5</td>
        <td>10-2</td>
      </tr>
    </table>
  </body>
</html>

'AI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IoT 정규 34일차  (0) 2024.02.19
AIoT 정규 33일차  (0) 2024.02.19
AIoT 정규 31일차  (0) 2024.02.15
AIoT 정규 30일차  (2) 2024.02.13
AIoT 정규 29일차  (0) 2024.02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