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
: Git은 파일의 버전 관리를 위한 강력한 도구이고 팀으로 작업할 때 더욱 유용하다.
- git init: Git으로 관리할 폴더를 생성하고 Git을 시작합니다.
- git add: 파일을 버전 관리 가능한 영역으로 등록합니다.
- git add (파일명): 특정 파일을 등록
- git add .: 현재 폴더의 모든 파일과 폴더를 등록
- git add -A: 모든 파일을 등록
- git commit: 현재 관리 중인 파일을 하나의 버전으로 저장합니다.
- git commit -m "(커밋 메세지)": 커밋 메세지와 함께 버전을 저장
- git log: 커밋 로그를 확인하여 버전 이력을 파악합니다.
- git branch: 브랜치를 생성하거나 확인합니다.
- git branch (브랜치명): 새로운 브랜치 생성
- git revert: 과거로 돌아가면서 이전 커밋을 취소합니다.
- git revert (커밋명): 특정 커밋을 취소하면서 새로운 커밋을 생성
- git reset: 특정 커밋으로 돌아가면서 이후 커밋 기록을 삭제합니다.
- git reset --soft (커밋번호): 커밋은 유지하고 수정사항만 되돌림
- git reset --hard (커밋번호): 커밋과 수정사항 모두 삭제
- git push: 로컬 커밋을 원격 저장소로 업데이트합니다.
- git clone: 원격 저장소를 로컬로 복제합니다.
- git pull: 원격 저장소에서 최신 변경 사항을 가져옵니다.
- Pull Request: Pull Request 는 협업을 위해 사용됩니다. 원격 저장소에서 변경 사항을 제안하고 리뷰를 받아 병합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GitHub, GitLab, Bitbucket 등의 플랫폼에서 Pull Request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
- Git Flow / Trunk-based 브랜치 전략:
- Git Flow: 기능 개발, 버그 수정, 배포 등을 위해 다양한 브랜치를 사용하는 전략입니다.
- master: 제품으로 출시될 수 있는 브랜치
- develop: 다음 버전을 개발하는 브랜치
- feature/: 기능 개발 브랜치
- release/: 배포를 준비하는 브랜치
- hotfix/: 긴급한 버그 수정 브랜치
- Trunk-based 브랜치 전략: 단일 브랜치를 사용하여 빠르게 배포하는 전략입니다. 주로 CI/CD 환경에서 사용됩니다.
- Git Flow: 기능 개발, 버그 수정, 배포 등을 위해 다양한 브랜치를 사용하는 전략입니다.
- git stash: 코드를 잠시 보관하는 방법입니다.
- git stash: 현재 변경 사항을 임시로 저장하고 작업 디렉토리를 깨끗하게 만듭니다.
- git stash save "메세지": 변경 사항을 스태시에 저장하면서 메세지를 추가합니다.
- git stash list: 스태시 목록을 확인합니다.
- git stash apply (스태시명): 스태시를 적용하고 변경 사항을 복원합니다.
- git stash pop (스태시명): 스태시를 적용하고 해당 스태시를 삭제합니다.
- git stash drop (스태시명): 스태시를 삭제합니다.

'AI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IoT 정규 62일차 (0) | 2024.04.08 |
---|---|
AIoT 정규 61일차 (0) | 2024.04.05 |
AIoT 정규 59일차 (1) | 2024.04.03 |
AIoT 정규 58일차 (2) | 2024.04.02 |
AIoT 정규 57일차 (0) | 2024.04.02 |